이상동공, 구심동공운동장애, 원심동공운동장애, 긴장동공, 아르길-로버트슨동공, 호르너증후군
이상동공이상동공(abnormal pupil)에는 구심동공운동장애, 원심동공운동장애, 긴장동공, 아르길-로버트슨동공, 호르너증후군이 있다.구심동공운동장애(afferent pupillary defect, Marcus Gunn pupil)단안(왼쪽)에 광범위한 망막 질환이나 시신경 질환 등이 있을 때, 질환이 있는 눈에 광선을 비출 때 왼쪽 눈 동공의 직접대광반사와 정상눈(오른쪽)의 간접대광반사가 소실되거나 감소되고 정상눈에 광선을 비추면 오른쪽 눈 동공의 직접대광반사와 질환이 있는 눈에서 간접대광반사가 일어나 동공수축이 된다. 그 이유는 질환이 있는 눈에 광선을 비추어도 그 질환으로 인해 자극이 뇌로 전달 되지 않으므로 두 눈 모두 동공수축이 일어나지 않지만, 정상눈에 광선을 비추면 그 자극이 뇌로 전달되고..
2025. 2. 19.
눈의 종양, 눈꺼풀 양성종양, 눈꺼풀 악성종양, 안와 종양, 속발성 종양과 원거리전이종양
눈의 종양눈의 종양에는 눈꺼풀 양성종양, 눈꺼풀 악성종양그리고안와 종양,속발성 종양과 원거리전이종양 등이 있다.눈꺼풀 피부와 눈꺼풀테에도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볼 수 있는 종양들이 모두 생길 수 있다. 또한 안와는 발생학적으로 인체를 이루는 모든 조직이 존재하므로 다양한 종양이 발생 할 수 있다.눈꺼풀 양성종양눈꺼풀에는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는 사마귀유두종, 모반세포가 모여서 생긴 흑갈색 또는 색소침착이 없는 모반 등이 나타난다.황색판종은 흔히 중년여성에서 안쪽 눈구석의 위눈꺼풀에 잘 생기는데 황색으로 편평한게 융기되어 있다. 지방대사의 이상으로도 발생하지만, 대부분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피부모양종양은 선천적으로 생기며, 주로 위눈꺼풀의 가쪽눈구석 부위 피부 밑에서 동그랗게 만져진다.해면혈관종,..
2025. 2. 18.
갑상샘눈병증, 눈알돌출, 눈꺼풀 증상, 눈알운동장애, 시력장애, 그 밖의 증상
갑상샘눈병증갑상생눈병증의 발생기전, 병리소견, 임상양상, 눈알돌출, 눈꺼풀증상, 눈알운동장애, 시력장애, 그 밖의 증상에 대해 알아본다.발생기전은 갑상샘눈병증(그레이브스눈병증)이 있을 때 갑상샘과 눈조직 사이에서 어떤 기전으로 반응이 일어나는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임상적 소견도 매우 다양하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자가면역현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임상적으로는 자가면역 질환( 재생불량성 빈혈, 근무력증)의 발생빈도가 높으며 LATS나 TSI 등으로 인한림프구침윤,체액면역, 흉선이상이 나타나는 세포매개면역이 관여한다.병리소견은 안와조직 중 주로 외안근에 림프구, 형질. 비만세포가 침윤하며, 점액다당류로 인한 수분이 흡수되어 외안근이 비대해지며 부종이 생긴다. 부종이나 염증세..
2025. 2. 17.
원인 불명의 결막염, 위각막가장자리각결막염, 결막여포증, 만성 여포결막염, 딸기코결막염, 다형홍반증후군과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라이터증후군, 목질결막염
원인 불명의 결막염원인 불명의 결막염은 위각막가장자리각결막염, 결막여포증, 만성 여포결막염, 딸기코결막염, 다형홍반증후군과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라이터증후군, 목질결막염등이 있다.위각막가장자리각결막염위쪽 눈알결막의 만성적 각화를 특징으로 하는 위각막가장자리결막염은 대개 양안에 발병하며, 눈꺼풀판결막의 유두 형성과 위쪽 각막의 점 모양 진무름, 실모양각막염이 특징이다. 대개 남성보다 여성에게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작열감, 이물감과 눈물흘림을 보인다. 각화된 상피세포와 점액물질이 로즈벵갈에 염색되면 진단에 도움이 된다. 환자의 약 절반에서 갑상샘 질환을 동반한다.치료는 0.5%나 1% 질산은용액을 위눈알결막과 눈꺼풀결막에 적셔주어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래도 별 효과가 없을 때는 위각막가장..
2025. 2. 17.
눈의 변성, 홍채변성, 맥락막변성, 각막주변부 변성, 각막표층부 변성
눈의 변성눈의 변성에는 홍채 변성, 맥락막 변성, 각막주변부 변성, 각막표층부 변성 등이 있다.홍채변성홍채변성은 홍채실질이 전반적으로 얇아지며 홍채무늬가 없어져서 홍채 표면은 편평해진다. 동공조임근이 보이고 동공가장자리에 좀 먹은 모양을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색소상피세포층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색소과립들이 각막 뒷면, 섬유주, 수정체전낭, 홍채 표면에 산재한다.맥락막변성맥락막변성의 노인성 변화맥락막혈관의 변화로 인한 여러 가지 변성이 특히 망막 후극부에 잘 생긴다. 망막색소상피세포의 증식과 변성으로 브루크막에 유리질 물질이 침착되며, 이를 드루젠이라 한다. 드루젠으로 인해 망막색소상피의 손상이 진행되면 맥락막혈관신생을 동반하는 연령관련황반변성이 발생하여 실명에 이르기도 한다.맥락막변성의 맥락막 경화큰 ..
2025.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