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특수 사시, A.V 증후군, 해리수직편위, 감각사시, 듀안안구후퇴증후군, 브라운증후군, 중증근무력증, 안와파열골절, 눈벌림마비, 눈모음마비 본문2 기본서체 기본모드

by 효림이닷컴 2025. 2. 22.
반응형

특수사시

특수 사시에는 A.V 증후군, 해리수직편위, 감각사시, 듀안안구후퇴증후군, 브라운증후군, 중증근무력증, 안와파열골절, 눈벌림마비, 눈모음마비 등이 있다.

A.V증후군

A.V증후군은 수평사시에서 위쪽주시와 아래쪽주시 등의 수직 방향에서 사시각의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를 말하며, 수평사시의 약10%에서 발견된다. A형은 위로 볼 때 눈이 모이고 밑으로 볼 때 벌어지며, V형은 그 반대이다. A형은 위쪽과 아래쪽주시 사이의 사시각 차이가 10△ 이상일 때, V형은 15 △ 이상일 때로 기준을 정한다.사시각은 위쪽 25°, 아래쪽35°를 볼 때 측정한다.

종류는 A형. V형 내사시, A형. V형 외사시가 있다. 예를 들면 V형 외사시는 위쪽주시 때 40△, 제 1 안위때 30△, 아래쪽주시 때 20△ 외사시인 경우이며, A형 내사시는 각각 40△, 30△, 25△ 내사시를 보이는 경우이다.

원인은 빗근의 기능항진이나 저하, 위.아래곧은근 또는 안쪽.바깥곧은근의 이상, 안와이상, 근육부착이상 등으로 생각된다.

해리수직편위

해리수직편위는 피곤하거나 무심코 있을 때 두 눈이 교대로 위쪽으로 올라가는 것이다. 한 눈을 가려 융합을 방해하면 가린 눈이 위롤 올라가며, 다음에 물체를 주시하고 있던 반대쪽 눈을 가리면 그 눈에도 위쪽편위가 일어난다. 영아내사시나 시력을 잃은 눈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흔히 눈떨림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해리수직편위는 증상이 거의 없어 주로 미용상의 이유로 치료한다. 수술은 위곧은근후전술, 아래곧은근절제술, 과다위곧은근후전술, 위곧은근의 후전과 뒤고정술, 아래빗근앞옮길술 등이 있다.

감각사시

감각사시는 한쪽에 현저한 시력장애가 있는 눈은 항상 주시물체를 향하지 못해 사시가 된다. 소아에게는 내사시, 성인에게는 외사시가 되는 경우가 많다. 원인으로는 맹 또는 약시를 초래할 수 있는 백내장, 녹내장, 심한 굴절부등눈, 망막모세포종, 시신경위축 등이 있다.

듀안안구후퇴증후군

듀안안구후퇴증후군은 외안근의 신경지배 이상과 섬유화가 주요 원인이며 대부분 한쪽 눈에만 나타난다. 안구후퇴증후군의 종류는 가장 흔한 벌림제한만 있는 제1형과 모음장애가 있는 제2형, 벌림장애와 모음장애가 함께 있는 제3형 등 세 가지가 있다.

오른쪽 눈보다 왼쪽 눈에서 흔히 나타나며 심한 벌림제한이 있으며, 벌어질 때 눈이 커지고 내전시에 눈알의 함몰, 눈꺼풀틈새의 축소, 눈모음장애 그래고 눈알의 갑작스런 올림이나 내림 등의 소견을 보인다. 제1안위에서는 정상일 수 있으며 내사시 또는 외사시가 있을 수도 있다. 수평사시가 있는 경우 두눈단일시를 얻기 위한 머리돌림이 있다. 약시는 드물고 눈운동제한이 있는 방향 외에는 입체시손상이 없다. 제1안위에서 사시를 보이거나 머리회전이 있을 때 수술한다.

브라운증후군(위빗근건초증후군)

브라운증후군 또는 위빗근건초증후군이라고 하며 원인은 확실치 않으나 위빗근의 힘줄집이 단축되어 눈모음 상태에서 눈알의 올림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눈의 위치는 제1안위, 벌릴 때, 내릴 때는 정상이나 올릴 때는 외사시가 된다. 눈모음 상태에서 위쪽으로 눈알을 당길(강제당김검사) 때 제한이 있다.

사시가 있거나 머리회전이 있을 때 수술하며 짧아진 위빗근힘줄을 절제 또는 절단하거나 절단된 힘줄을 실리콘으로 연결해 근육의 길이를 늘리는 실리콘연장술을 하기도 한다.

중증근무력증

중증근무력증은 수의근이 이상피로 현상을 보이는 진행성 만성 질환으로 눈꺼풀처짐과 외안근운동장애로 인한 복시가 초기 증상으로 나타난다. 하루 중에도 증상이 차이가 심하며 아침보다 오후에, 피로할 때 더 심하다. 초기에는 사시각이 일정하지 않고 변화되며 심해지면 외안근운동제한으로 고정사시가 올 수 있다.

네오스티그민 1.5mg을 근육주사하거나 염화에드로포늄(텐실론) 10mg을 천천히 혈관으로 주사하여 눈운동제한이 호전되는지를 검사해서 진단한다. 브롬화네오스티그민(프로스티그민), 피리도스티그민(메스티논)을 전신투여해서 치료한다. 브롬화데메카륨(후모르솔)의 국소 점안은 경미한 눈꺼풀처짐과 외안근운동장애가 있을 때 도움을 준다.

사시각이 변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면 수술을 할 수 있다.

안와파열골절

안와파열골절은 외상을 입은 눈의 올림장애와 눈알함몰이 주 증상이며, 강제당김검사 결과가 양성인 점과 X선 검사에서 안와 주위 뼈의 골절 부위가 보이는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눈벌림마비

눈벌림마비는 각각의 한눈운동은 정상이지만 근거리 주시 때보다 원거리 주시 때 사시각이 커지는 내사시를 보인다. 눈앞의 일정한 거리 이내에서는 두눈보기가 가능하지만 이보다 원거리에 있는 물체를 보면 복시가 생긴다. 머리의 외상과 다리뇌종양 등과 관계가 있다.

눈모음마비

눈모음마비는 각각의 한눈운동은 정상이지만 근거리 주시 때 눈모음장애로 인한 교차복시를 호소한다. 머리외상, 뇌염 등과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