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원인 불명의 결막염, 위각막가장자리각결막염, 결막여포증, 만성 여포결막염, 딸기코결막염, 다형홍반증후군과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라이터증후군, 목질결막염

by 효림이닷컴 2025. 2. 17.
반응형

원인 불명의 결막염

원인 불명의 결막염은 위각막가장자리각결막염, 결막여포증, 만성 여포결막염, 딸기코결막염, 다형홍반증후군과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라이터증후군, 목질결막염등이 있다.

위각막가장자리각결막염

위쪽 눈알결막의 만성적 각화를 특징으로 하는 위각막가장자리결막염은 대개 양안에 발병하며, 눈꺼풀판결막의 유두 형성과 위쪽 각막의 점 모양 진무름, 실모양각막염이 특징이다. 대개 남성보다 여성에게 발생한다. 주요 증상으로는 작열감, 이물감과 눈물흘림을 보인다. 각화된 상피세포와 점액물질이 로즈벵갈에 염색되면 진단에 도움이 된다. 환자의 약 절반에서 갑상샘 질환을 동반한다.

치료는 0.5%나 1% 질산은용액을 위눈알결막과 눈꺼풀결막에 적셔주어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래도 별 효과가 없을 때는 위각막가장자리와 가까운 눈알결막의 후전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제제 점안은 별로 효과가 없다.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눈물 흘림이 발생해 콘택트렌즈 사용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결막여포증

결막여포증이란 양성 림프구증식으로서 양안에 생기고 비염증성인 결막 질환이며 어른에 비해 어린이에게 많다. 결막에 여포비대가 나타나지만 증상은 경미하다. 이 여포는 아래눈꺼풀결막에 많으며 원인은 모르지만 2~3년 후 자연소실되므로 치료는 필요 없다.

만성 여포결막염

만성 여포결막염은 특히 어린이의 위.아래눈꺼풀결막에 여포가 많이 생기는 양측 전이성 질환이다. 눈곱과 충혈의 염증 증상은 경미하며 합병증도 없다. 치료는 효과가 없고 2년 내에 자연치유된다.

딸기코결막염

딸기코결막염은 딸기코의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드문 질환이다. 눈꺼풀테와 결막의 충혈, 드물게 각막가장자리 근처에 표면궤양을 일으키는 작고 흰 결절의 결절결막염을 나타내며, 플릭텐결막염과 감별해야 한다.

예방은 위해 혈관을 확장시킬 수 있는 음식, 술과 더운 환경을 피해야 한다. 포도알균으로 인한 이차결막염의 치료에는 테트라사이클린 경구투여가 효과적이다.

다형홍반증후군과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다형홍반증후군과 스티븐스-존슨증후군은 피부와 점막을 동시에 침범하는 질환으로, 일종의 과민반응 질환이다. 거짓막을 형성하는 결막염이 양안에 나타난다. 통증,자극증상, 눈곱, 눈부심을 호소한다. 각막은 이차적으로 침범되며 신생혈관과 흉터가 생기고 심한 시력감퇴가 있다. 특징적으로 젊은 사람에게 발생하고 35세 이후에는 드물다. 세균배양은 음성이고 결막찰과표폰에서 다핵구가 다량 나타난다. 전신적인 부신피질호르몬제제 투여는 눈증상에 효과가 없다. 결막주머니를 잘 씻어내고 축적된 분비물을 제거해주며, 급성기에는 결막붙음증을 방지하기 위해 매일 결막이 달라붙은 부분들을 분리시켜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합병증으로 속눈썹증이나 눈꺼풀속말림이 생기면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하다. 급성으로 나타났을 때는 대개 6주 정도 지속되며 결막에 흉터를 남기고 눈물의 소실, 속눈썹증, 눈꺼풀속말림으로 인한 각막혼탁을 남긴다.

라이터증후군

라이터증후군은 비특이성 요도염, 관절염, 결막염이나 홍채염 등 3대 질환을 특징적으로 동반한다. 여성보다 남성에 많으며 결막염은 양안에 유두형으로 나타난다.

목질결막염

목질결막염은 나무껍질 같은 거짓막이나 막을 동반하는 것이 특징인 만성 재발성 결막염으로 드문 질환이다. 대개 유년기 여아에서 양안에 주로 발생하고 수년 동안 지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