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체
수정체로 인한 눈 질환에는 수정체용해녹내장, 수정체팽대녹내장, 수정체포도막염이 있고, 수정체이탈에는 유전성 수정체이탈증, 외상성 수정체이탈이 있으며 선천이상으로는 수정체결손, 공모양수정체 또는 작은수정체, 원추수정체가 있다.
수정체로 인한 눈 질환
수정체용해녹내장
수정체용해녹내장이 있을 때는 과숙백내장이 있어서 수정체 물질이 앞방 내로 나오면 거대단핵식세포들이 수정체 물질을 탑색하기 위해 출현하고, 이들이 앞방각(anterior cha-mber angle) 섬유주를 막아서 속발개방각녹내장(secon-dary open angle glaucoma)을 일으킨다.
약물치료로 안압을 낮춘 후 수정체적출술을 시행하면 안압은 정상으로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녹내장수술을 해야 한다.
수정체팽대녹내장
수정체팽대녹내장(phacomorphic glaucoma)이란 백내장 미숙기에 수정체섬유의 수분함량 증가로 수정체가 갑자기 부풀거나,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한 수정체낭의 파열로 팽창된 수정체로 인해 앞방이 얕아지고 앞방각이 막혀서 속발폐쇄각녹내장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대개 구조적으로 앞방이 얕은 사람에게 흔히 발생한다. 수정체적출술로 치료한다.
수정체포도막염
수정체포도막염은 외상으로 인한 수정체낭 파열 시 수정체 단백물질이 앞방으로 나오면 이것이 항원으로 작용하여 포도막염을 일으키고 때로는 녹내장을 동반되기도 한다.
굳기름각막침착물(mutton-fat keratic precipitate), 홍채후유착, 드물게는 섬모체염막(cyclitic membrane)을 형성하기도 하며, 수정체적출술이나 부신피질호르몬제제를 투여해서 치료한다. 때로는 수정체낭외 적출술 후에 수정체단백에 의해 눈이 감작(sensitized)된 상태에서 반대편 눈을 낭외적출로 수술하다가 수정체 물질이 남게 되면 수술한 눈에 심한 염증반응이 나타나고 눈속염까지 초래되기도 한다.(수정체과민눈속염 phacoanaphylactic endophthalmitis).
수정핵이 유리체 내에 남아 있으면 심한 포도막염이 장기간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때는 유리체 수술기계를 이용하여 수정체 물질을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수정체이탈
수정체부분이탈(subluxation of lens) 또는 수정체이탈(dislocation of lens, lens luxation)은 유전이나 외상 때문에 발생한다.
유전성 수정체이탈증
유전성 수정체이탈증은 대개 양쪽 눈에 생기며 수정체결손(lens coloboma, 호모시스틴뇨증 homocystinuria), 마르팡증후군, 마르케사니증후군 등에서 볼 수 있다.
시력은 불량하다. 부분이탈일 경우 코 위쪽으로 잘 생기며 수정체 적도부, 섬모체소대가 동공을 통해 보인다. 완전이탈하여 유리체 내에 가라앉아 있을 경우에는 검안경으로 확인해야 한다. 수정체부분이탈 시 흔해 백내장이 초래되며 수정체적출술을 시행해야 하지만, 망막박리, 유리체탈출 등의 합병증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외상성 수정체이탈
외상성 수정체이탈은 타박상으로 인해 부분 또는 완전이탈이 일어나며, 부분이탈 시는 시력장애가 별로 심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복시를 호소하기도 한다.
완전이탈되어 유리체 내에 가라앉으면 시력장애는 물론 포도막염, 녹내장 등이 합병되어 충혈이 심하고 통증을 호소한다. 환자가 눈을 움직이면 홍채가 떨리는 홍채떨림(iridodonesis)이 나타나는데, 이는 홍채를 지지하고 있던 수정체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합병증이 없는 한 가만히 두는 것이 좋지만 합병증의 발생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유리체절제술 후 수정체를 제거한다.
선천이상
수정체결손
수정체결손은 수정체 적도부에 V자형의 작은 결손이 주로 코 아래쪽에 나타난다. 섬모체소대의 선천결손으로 그 부위가 원형을 이루지 못하고 이완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수정체의 결손이 클 때는 홍채나 맥락막에도 결손이 동반될 수 있으며, 거대망막열공(giant retinal tear)이 생길 수도 있다.
공모양수정체 또는 작은수정체
공모양수정체(spherophakia 작은수정체 microphakia)란 수정체가 정상보다 작고 앞뒤 만곡도가 큰 상태로, 심한 근시를 보인다. 동공을 확대시키면 섬모체 소대가 쉽게 관찰된다. 수정체부분이탈이 잘 발생하며, 간혹 수정체 전체가 앞방 내로 이탈되기도 한다. 로우증후군, 마르팡증후군, 마르케사니증후군 등에서 볼 수 있다.
원추수정체
원추수정체(lenticonus)는 수정체의 전극 또는 후극주위 수정체면의 일부에 만곡이 심해져서 원추형으로 돌출된 상태를 말하며, 검안경으로 보면 수정체 중심부에 물방울이 붙은 것처럼 보이고, 그 부분은 굴절이 강하여 근시상태가 되며 흔히 주변에 혼탁이 동반된다. 시력이 극히 불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