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꺼풀의 감염과 염증
눈꺼풀에 감염으로 생기는 질환과 염증 질환은 바깥다래끼, 속다래끼, 콩다래끼, 마이봄샘염, 눈꺼풀테염, 궤양눈꺼풀테염, 구석눈꺼품염, 눈꺼풀피부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 방법이다.
다래끼
바깥다래끼
바깥다래끼는 짜이스샘, 몰샘의 급성 화농성 염증이다. 원인은 포도알균 감염이며 눈꺼풀 표면 가까이 있다.
증상은 초기에 발적, 소양감이 있다가 종창이 되고 통증이 생긴다. 심한 압통이 있고, 4~5일이 경과되면 결절이의 통증이 감소 되며 농양이 되어 피부로 배농된다. 속눈썹뿌리로 감염이 확대되면서 다발성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고, 잦은 재발이 되기도 한다.
치료 방법은 따뜻한 찜질을 하면 치료 기간이 보다 줄어들며, 자연스레 호전되거나, 피부로 배농되어 낫는다. 항생제 안연고를 눈꺼풀테에 바르면 감염이 퍼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눈꺼풀테와 피부를 나란히 절개해 안에 있는 염증을 배농하기도 한다.
속다래끼
원인은 마이봄샘에 생긴 급성 화농성 염증으로 바깥 다래끼보다 깊은 곳에 있고, 증상은 노란색 고름집이 결막면에 생기는 것으로 구별된다. 콩다래끼와 유사해 보일 수 있다. 배농을 해야 치료가 된다. 눈꺼풀테에서 수직으로 결막면을 절개 한다.
콩다래끼
원인은 마이봄샘의 무균성 만성 육아종성염증이다. 중심부는 지방물질로 샘분비물, 괴사조직이 섞였다. 원형세포의 침윤과 거대 세포들이 있다. 증상은 눈꺼풀테피부 밑에 콩알 크기만한 결절이 있는데, 단단하며, 통증, 발적은 없다.
치료는 자연 흡수가 되거나, 내용물을 긁어내어야 하는데 눈꺼풀테와눈꺼풀판결막을직각으로절개해서 시행한다. 같은 부위에 콩다래끼가 자주 생길경우 피지샘암종인지 감별하기위해 조직검사를 시행한다.
마이봄샘염
원인 불명이며 중년 이후에 드문 질환으로 만성염증이다. 증상은 양안에 발생하고 눈꺼풀염증과 결말염이 같이온다.
흰색 비누거품 분비물의 자극으로 결막이 충혈된다. 치료는 눈꺼풀판샘을 자주 마사지하고, 따뜻한 찜질로 분비물 제거와 결막염 치료, 눈꺼풀 염증 치료를 진행한다.
눈꺼풀염
눈꺼풀테염
소년기 이후 모든 연령층에서 흔한 질환으로 만성 염증으로눈꺼풀 피부와/span>속눈썹 뿌리에 발생하며양안에 나타난다. 증상은 눈꺼풀테 충혈, 속눈썹 비듬, 눈썹탈락증, 속눈썹증이 나타난다. 증상은 가려움, 이물감, 자극, 결막충혈이며 원인은 포도알균 감염, 지루피부염이다.
비듬 눈꺼풀염, 지루눈꺼풀염은 눈꺼풀테에 충혈이 있고, 비듬이 붙어있다. 먼지나 화학물질등으로 쉽게 충혈되며 증상악화가 된다. 지루피부염이 머리, 눈썹, 바깥귀에 있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머리, 눈썹, 눈꺼풀테 청결을 유지해야하며 머리쪽 지루피부염은 황화셀레늄으로 치료하며, 면봉으로 눈꺼풀테를 닦고, 비듬제거 항균제 국소 투여한다.
궤양눈꺼풀염
포도알균 감염으로 인한 화농성염증으로 속눈썹뿌리와 부속샘에서 나타난다. 눈꺼풀테 충혈, 잦은 다래끼, 콩다래끼 발생, 속눈썹증, 눈꺼풀겉말림이 합병되기도 한다. 머리, 눈썹, 눈꺼풀테 청결을 유지해야하며 머리쪽 지루피부염은 황화셀레늄으로 치료하며, 면봉으로 눈꺼풀테를 닦고, 비듬제거 항균제 국소 투여한다.
구석눈꺼풀염
가쪽 눈구석에 심하게 나타나며 증상은 눈구석 눈꺼풀 피부 충혈, 짓무름, 가려운 증상이 나타난다. 원인은 포도알균감염과 모락셀라균 감염이다. 치료는 황산아연 0.5%용액과 항균제를 사용한다.
눈꺼풀피부염
눈대상포진 편측에만 발생하며 삼차신경 1가지 분포위치에 주로 발생, 증상은 물집, 홍반,결막염, 각막염, 포도막염이 나타난다. 접촉피부염은 점안액등의 약제, 화장품, 안경들으로 직간접적으로 접촉하여 발생 한다. 잦은 재발로 홍반, 물집과, 비듬, 구진 등 증상과 가려움이 동반된다. 원인을 제거하고 항균제,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하여 치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