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결막염의 증상, 자각증상, 타각증상

by 효림이닷컴 2025. 2. 14.
반응형

결막염의증상

결막염의 증상에는 자각증상에는 통증, 가려움, 발적, 부기, 이물감이 있고, 타각증상에는 충혈, 분비물, 결막부종, 거짓눈꺼풀처짐, 결막밑출혈, 유두비대, 여포, 거짓막과 막, 육아종, 귓바퀴앞림프절병증이 있다.

결막염 자각증상

결막염의 증상 중 자각증상에는 통증이 있다. 주로 타는 듯한 증상이나 할퀴는 듯한 증상을 호소한다.건성각결막염은 낮에,포도알균으로 인한 결막염은 아침에 심한 통증이 나타난다. 그리고 알레르기결막염이 있을 때 가려움증이 많이 생긴다. 특히 봄철각결막염은 가려움증이 매우심하다. 이물감과 발적, 부기가 나타나며 눈곱은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가 가장 심하다.

결막염 타각증상

충혈

결막염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경우 비특이증상으로 뒤결막혈관의 확장으로 인해 발생한다. 결막구석부위는 선홍색을 띠며 각막가장자리로 갈수록 옅어지는 색을 띠는데 손으로 눌러보면 충혈된 혈관이 일시적으로 사라지며 혈관수축제에 잘 반응한다. 이에 반해 각막이나 홍채의 염증, 급성 폐쇄각녹내장등에서 보이는 섬모체충혈은 적자색이며 각막가장자리 근처가 가장 심하고 결막구석부로 갈수록 연해진다. 결막충혈은 미생물로 인한 염증 외에도 광선, 먼지, 연기 등의 자극, 동공수축제 점안, 굴절이상이나 안근이상이 있을 때도 볼수 있다.

분비물

결막염이 발생하면 이물감과 작열감 때문에 눈물이 나며 이 눈물에는 혈관충혈로 인한 누출액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또한 바이러스염증이 있으면 수분성 삼출물이 분비되지만 세균결막염인 경우에는 끈적거릴거나 고름이 섞인 삼출물이 나온다. 특히 임균이나 클라미디아로 인한 감염에서는 아주 많은 양의 화농성 삼출물을 볼 수 있다.

결막부종

손상된 결막혈관벽으로부터 누출액이 나와 눈알 결막이 부어오른 상태를 말하며, 심할 경우 물집처럼 부풀어 각막을 가리기도 한다. 급성 건초열결막염, 임균, 수막알균결막염, 아데노바이러스결막염 등에서 볼 수 있다.

거짓눈꺼풀처짐

눈꺼풀이 염증으로 부어서 처진 것처럼 나타나는 일시적 증상이다. 결막염이 심할 때 볼 수 있다.

결막밑출혈

급성 출혈결막염 또는 유행각결막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심한 세균결막염이 있을 때도 때때로 나타난다. 결막염과 상관없이 재채기를 하거나 심하게 코를 푼 경우 또는 여성이 월경을 할 때도 나타난다. 대개 2~3주 후면 저절로 흡수된다.

유두비대

눈꺼풀판결막에는 유두를 이루는한 묶음의 혈관이있고, 이 유두의 혈관들은 결막상피바닥막 바로 아래 부위에서부터 방사상분지를 이룬다. 만일 염증성 삼출물이 이 혈관 사이사이에 축적되면 유두를 결막 표면 위로 불쑥 밀어 올린다. 이러한 경우를 유두비대라고 한다.

보통 세균이나 클라미디아결막염이 있을 때는 유두비대가 작아서 편평하고 부드러운 붉은색 벨벳 모양이다. 봄철각결막염이 있는 경우 위눈꺼풀판결막에 나타나는 유두비대는 대단히 크로 편평한 다각형 모양으로 마치 자갈을 깔아 놓은 듯하며, 각막가장자리에서도 우두가 나타날 수 있다. 아토피결막염이 있을 때는 아래눈꺼풀판결막에 유두비대가 나타난다.

여포

결막기질의 아데노이드층에 생긴 일종의 국소림프증식으로, 대개 아래구석부에서 뚜렷하며 여러 개의 작고 투명한 물집 모양이다. 보통 배중심을 갖고 있으며, 작은 혈관이 여포 주의를 둘러싸고 있다. 생후 2~3개월 까지는 결막에 아데노층이 없기 때문에 여포가 생기지 않는다. 여포는 대부분의 바이러스결막염과 클라미디아결막염 그리고 IDU나 동공수축제 등 약물의 국소점안으로 인해 생긴 중독격막염에서 흔하며, 일부 세균결막염에서도 볼 수 있다. 여포의 위치는 임상적으로 중요하며 결막구석부나 눈꺼풀판테 부위 결막에 있을 때는 진단적 가치가 없으나, 여포가 눈꺼풀판결막에 존재할 때는 클라미디아감염, 바이러스감염이나 중독결막염을 의심해야 한다.

거짓막과 막

감염성이나 독성 인자로 인해 눈꺼풀판결막에 생기는 응고과정의 결과이며, 정도에 따라 거짓막이나 막을 형성한다.

거짓막은 결막상피 위에 있는 염증성 산물의 응혈이며 결막상피를 손상하지 않고, 쉽게 제거할 수 있으나, 막은 전체 결막상피를 포함한 응혈로 제거하면 심한 출혈이 발생한다. 거짓막이나 막은 유행각결막염, 원발단순포진결막염, 사슬알균결막염, 디프테리아결막염, 그리고 다형홍반에서 나타난다. 또한 알칼리화상 후에도 막의 형성을 볼 수 있다.

귓바퀴앞림프절병증

귀 앞의 림프샘이 촉진될 정도로 커진 상태이다. 압통을 동반한 귀바퀴앞림프절병증은 유행각결막염, 원발단순포진결막염, 봉입체결막염 그리고 트라코마에서 나타나며 압통이 없는 귓바퀴앞림프절병증은 인두결막염과 급성 출혈결막염에서 볼 수 있다. 세균결막염에서는 귓바퀴앞림프절병증이 드물다.